적금, 청약통장, 잔돈 저금을 시작했다면 이제 ISA, ETF, 금 통장에 도전해보세요.
ISA 통장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하는지 쉽게 알려드립니다.
적금과 청약통장을 해본 뒤, 돈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모으고 불릴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게 됩니다.
오늘은 ISA, ETF, 금 통장, 로보어드바이저까지 안전하면서도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재테크 방법과 ISA의 핵심 원리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리겠습니다.
ISA 계좌로 비과세 혜택 받기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재테크에 관심이 생기면 반드시 듣게 되는 통장입니다.
아직 어렵게 느껴지나요? 아래 설명을 보면 훨씬 쉽게 이해됩니다.
✅ ISA는 통장 그릇이에요
쉽게 말해,
커다란 보관함 같은 건데 그 안에 여러 가지 금융상품(예금, 적금, 펀드, ETF)을 내가 원하는 대로 담을 수 있는 통장이에요.
🌿 핵심 포인트
✅ ISA 그 자체는 아무것도 투자하지 않아요.
✅ 그 안에 어떤 상품을 “담느냐”에 따라 돈이 불어납니다.
✅ 그리고 비과세(세금을 깎아주는 혜택)가 따라와요.
💡 예시로 보면 더 쉽습니다.
일반 통장 = 작은 가방
그냥 돈만 넣어두면 돼요.
이자가 나면 바로 세금 15.4% 뗍니다.
ISA = 큰 수납함
안에 ‘예금’ ‘펀드’ ‘ETF’ 등 여러 상품을 담아둡니다.
이자가 나면 일정 금액까지는 세금을 안 떼요!
✅ 그래서 ISA는 어떻게 써요?
1️⃣ ISA 통장을 먼저 개설.
2️⃣ 통장 안에
- 예금 상품
- 펀드 상품
- ETF 상품
등을 선택해서 넣습니다.
3️⃣ 각 상품에서 발생한 수익을 합산해 연 2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습니다.
4️⃣ 만기는 최소 3년이입니다.
🌿 한마디로 정리하면!
ISA = “절세 효과가 있는 통장 + 여러 상품을 한데 모아 관리하는 계좌”
그냥 돈만 넣어두면 수익은 없고, 안에 뭘 담느냐에 따라 이자가 생깁니다.
✅ 어디서 가입하나요?
NH농협,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앱
키움증권, 미래에셋 앱
ISA에 담을 상품을 고를 때 은행은 예금·적금 위주, 증권사는 ETF·펀드 위주로 상품이 달라집니다.
로보어드바이저 소액투자
로보어드바이저는 AI가 자동으로 종목을 고르고 분산 투자하는 서비스입니다.
처음 투자할 때 부담을 줄일 수 있어 많은 분들이 선택합니다.
✅ 왜 좋은가요?
- 1만원부터 가능
- 위험도를 본인이 선택
- 장기투자 습관에 좋음
✅ 어디서 할 수 있나요?
토스 앱: '투자' 메뉴
카카오페이 앱: '투자 서비스'
신한SOL 앱: '자산배분' 메뉴
✅ 참고사항
로보어드바이저 상품은 보통 “일반 투자계좌”에서 운영됩니다.
따라서 ISA에 담으려면 ISA 전용 로보어드바이저 상품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증권사는 ISA에서 로보어드바이저 연계 상품을 따로 제공합니다.
소액 ETF 투자
ETF(상장지수펀드)는 여러 종목을 한 번에 담은 주식과 비슷한 상품으로, 소액으로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왜 좋은가요?
1주만 사도 분산투자가 가능 거래량이 많아 쉽게 매매 장기수익 기대 가능
✅ 어디서 할 수 있나요?
- 키움증권 앱: ‘영웅문’
- NH투자증권 앱: ‘QV MTS’
- 카카오페이증권 앱
금 통장으로 안전자산 분산투자
금은 경제위기에도 가치가 크게 떨어지지 않아 안전자산으로 꼽힙니다.
금 통장은 실제 금을 사는 것이 아니라 금 가격에 연동해 적립식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 왜 좋은가요?
- 1g 단위로 소액 매수
- 언제든 매도 가능
- 장기 가치 보존
✅ 어디서 가입하나요?
신한은행 SOL 앱: ‘골드리슈’
KB국민은행 앱: ‘골드투자통장’
카카오뱅크 앱
하지만 지금은 가격이 고점이라 *‘조금씩 사 모으는 적립식 투자’*로 접근하는 게 더 현명합니다.
당장 수익보다는 “내 자산 중 일부를 안전자산에 나눠둔다”는 관점으로 보시면 좋아요.
오늘은 적금 이후에 도전할 안전한 재테크 방법과 ISA 통장 활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ISA는 “절세 통장”이 아니라, 안에 무엇을 담느냐에 따라 돈이 불어나고 세금 혜택을 받는 큰 보관함입니다.
처음에는 소액부터 천천히 시작해보세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대가 처음 시작하는 쉬운 재테크 방법과 재테크 잘하는 비법 (0) | 2025.07.02 |
---|---|
요즘 왜 이렇게 물가가 오를까? 2025년 물가상승률과 정부 대응까지 한눈에 알아보기 (0) | 2025.07.01 |
2025년 하반기 금리·환율 전망과 생활 꿀팁 총정리 (0) | 2025.06.28 |
2025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과 조건 총정리 – 놓치면 손해! (0) | 2025.06.27 |
“경제 뉴스 어려운 표현 파트 5 – 세금·절세 용어 20가지 한 줄로 쉽게 정리” (0) | 2025.06.27 |